페이지 위치 알려주기

장례방식

일반식 장례

  • STEP 01임종(臨終)

  • STEP 02수시(收屍)

  • STEP 03발상(發喪)
    (1) 설전(設奠)
    (2) 상제(喪祭)
    (3) 호상(護喪)

  • STEP 04치장(治葬)
    (1) 장일(葬日)
    (2) 장지(葬地) 선정
    (3) 영정(影幀)

  • STEP 05염습(殮襲)

  • STEP 06입관(入棺)

  • STEP 07조문

  • STEP 08성복(成服)

  • STEP 09발인(發靷)과
    영결식

  • STEP 10하관(下棺)과
    성분(成墳)

  • STEP 11위령제(慰靈祭)와
    반우제(返虞祭)

  • STEP 12삼우제(三虞祭)

  • STEP 13사십구제
    (四十九祭)

  • STEP 14탈상제(脫喪祭)

임종 (臨終)

임종은 가족이나 가까운 혈족이 운명할 때 곁에서 지켜보는 것을 말한다.
이때는 집 안팎을 깨끗이 치우고 시신을 모실 자리에 병자의 머리를 동쪽을 향하게한 후 방의 북쪽에 눕힌다.
그리고 병자가 평소에 입던 옷 중에서 흰색이나 엷은 색의 깨끗한 옷을 골라 갈아 입힌다. 이때 다른 가족들도 깨끗한 옷으로 갈아 입는다.
병자의 유언이 있으면 침착한 마음으로 기록하거나 녹음해 두고, 평소 병자가 보고 싶어하는 친족이나 친지가 있으면 속히 연락하여 운명을 지켜 볼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수시 (收屍)

우선 고인의 명복을 빌고, 눈을 곱게 감도록 쓸어 내린 후 머리와 팔다리를 주물러서 반듯하게 편다.
머리를 약간 높게 하여 받히고 나서 깨끗한 햇솜으로 코와 귀를 막는다.
그리고 희고 깨끗한 홑이불로 머리에서 발끝까지 덮은 다음 병풍이나 장막으로 가린다.

발상 (發喪)

발상은 초상을 알리고 상례를 시작하는 절차이다.
수시가 끝나면 가족들은 곧 검소한 옷으로 갈아입고 근신하며 애도하되 곡은 삼간다.
요즘은 장례의 여러절차를 대행해 주는 장의사가 있으므로 검은 색 줄을 친 장막과 '謹中'이라고 쓴 등, 그리고 '忌中' 혹은 '喪中'이라고 쓴 종이를 구입하여 대문에 붙이고 초상을 알린다.

1. 설전(設奠)

전을 올리는 것은 돌아가신 분을 살아 계실 때와 똑같이 모신다는 뜻에서 주과포혜(酒果脯醯)를 올리고 조석으로 곡을 하였다. 그러나 요즘에는 술과 삼색 과일을 올리고 고인이 평소 좋아하던 음식을 올린다. 혹은 고인이 좋아하던 꽃 중에서 화려하지 않은 꽃을 골라 올려도 무방하다. 그러나 조화는 쓰지 않는다.

2. 상제(喪祭)

고인의 배우자 또는 직계 자손은 상제가 된다. 주상(主喪)은 맏아들이 하고, 맏아들이 없으면 맏손자, 맏손자가 없으면 차자가 된다. 또 배우자의 한쪽이 죽으면 생존 배우자가 주상이 된다. 복인(服人)의 범위는 고인의 8촌 이내 친족으로 한다.

3. 호상(護喪)

주상을 대신하여 장례에 대한 모든 절차를 주관하는 사람이다. 친척이나 친지 중에서 장례 범절에 밝고 경험이 많은 사람에게 호상을 의뢰한다. 호상은 장례의 모든 절차를 주관하며, 부고와 장례에 관한 안내, 연락, 조위록, 사망신고, 매장(화장) 허가 신청 등을 맡아서 처리한다.

치장 (治葬)

1. 장일(葬日)

장례일은 대부분 3일장으로 하는데, 간혹 5일장을 치르기도 한다. 사망시간이 늦은 밤일 때는 치장 준비를 서둘러야 한다. 발인제나 영결식 시간은 참석자들의 시간, 장지에서의 도착 시간 등을 고려하여 정해야 한다.

2. 장지(葬地) 선정

장지를 미리 정해 두었을 경우에는 치장에 많은 도움이 되지만 그렇지 못할 경우에는 장의사를 통해 공원묘지 등을 알아보아 장지를 선택한다.

3. 영정(影幀)

고인의 사진을 검정색 액자에 끼우고 검정색 리본을 두른다. 영정은 시신을 가린 병풍 앞 제상 위에 모셨다가 운구할 때 앞에서 모시고 간다.

부고(訃告)

장일과 장지가 결정되면 호상은 상주(주상)와 의논하여 친척, 인지들에게 부고를 낸다.
반드시 장일과 장지를 기록해야 한다.
신문에 부고를 낼 때에는 지나치게 많은 유족의 이름을 열거하는 것은 피해야 하며, 행정기관, 기업체, 기타 직장이나 단체의 명의는 사용할 수 없다.

염습(殮襲)

운명한 지 만 하루가 지나면 탈지면이나 거즈로 시신의 머리와 온몸을 깨끗이 닦고 수의를 입힌다.
남자의 시신은 남자가, 여자의 시신은 여자가 염습을 한다.
우선 목욕물과 수건을 준비하고 여러벌의 수의를 한 번에 입힐 수 있도록 준비한다.
시신을 깨끗이 닦은 후 준비된 수의를 아래옷부터 웃옷순으로 입힌다.
옷고름은 매지 않으며, 옷깃은 오른쪽으로 여민다.
수의를 다 입히고 나면 손발을 가지런히 놓고 이불로 싼 다음 가는 베로 죄어 맨다.

입관(入棺)

염습이 끝나면 곧 입관한다.
관은 보통 옻칠을 한 목관을 사용한다. 잘 마른 나무에 옻칠을 여러번 한 것이 좋다.
관을 맞출 때는 시신의 키와 몸집에 맞게 한다.
또 관 속에는 벌레가 생기지 않도록 모서리에 석회를 뿌리로 소독약을 넣는다.
입관시 시신과 관 벽사이의 공간은 깨끗한 백지나 고인이 생존시에 입던 옷 중에서 자연섬유 계통의 옷 등으로 채워 시신이 관 속에서 움직이지 않게 한다.
시신을 움직이지 않게 한 후 홑이불로 덮고 관두껑을 닫은 다음 은정(隱釘)을 박는다.
그리고 관 위에 먹으로, 남자는 '(직함)(본관)(성명)의 널()', 여자는 '본관 OO씨의 널()'이라고 쓰고, 장지(壯紙)로 싼 다음 노끈으로 묶는다. 입관이 끝나면 관 밑에 나무토막을 깔로 안치한 다음 홑이불(관보)로 덮는다.
관보는 흰색, 검정색, 노랑색으로 하고 천은 비단이나 인조견 등에 따라 다르다.

1. 영좌(影座)

입관이 끝나면 정중하게 안치시키고 영좌를 차린 다음 그 앞에 깨끗한 백지를 깐 상을 차려놓고 그 정면에 고인의 영정을 모시고 양쪽에 촛대를 세워 촛불을 밝힌 다음 향로에 향을 피운다. 영좌가 마련되면 고인의 신분을 표시하는 영정을 만들어 영좌의 오른쪽에 세우거나 병풍에 걸쳐놓는다. 영정은 비단 한폭(70cm 정도)에 2.5~3m의 길이의 천에 아교섞인 분이나 달걀 흰자를 풀어 그 물로 글씨를 쓴 다음 흰 가루를 뿌린다. 글씨를 잘 쓰는 사람에게 부탁한다.

성복(成服)

입관이 끝나고 영좌를 마련한 다음 상제와 복인은 성복을 한다.
성복이란 정식으로 상복을 입는다는 뜻이다.
집안의 생활 양식에 따라 검은색 양장을 하기도 한다.
이때는 양말과 구두도 검정색으로 통일하는 것이 좋다.
복인은 검정색 헝겊이나 삼베로 만든 완장이나 상장을 착용한다.
성복이 끝나면 성복제라 하여 정식으로 제사를 지낸다.
성복제 이전에는 조속으로 전을 올리지만 성복제 이후에는 전을 올리지 않고 상식(上食)만을 올린다.

발인(發靷)과
영결식

발인은 고인이 생전에 살던 집과 가족들로부터 떠나가는 의식을 말하며 발인제(發靷制)라고도 한다. 요즘에는 영결식(永訣式)이라고도 하며, 전통 상례에서 견전(遣奠)에 해당한다.
발인제는 고인의 신분에 따라 구분되는데, 예를 들면 사회장, 단체장, 가족장 등이다. 사회장과 단체장의 경우에는 장의위원회가 구성되어 그 위원회에서 영결식을 주관한다.
영결식의 장소는 상가의 뜰이나 공터 또는 교인일 경우 교회나 성당 등에서 거행하며 식순은 다음과 같다.

① 개식(開式)
② 주상 및 상제들의 분향 재배
③ 고인의 약력 보고
④ 조사(弔辭)
⑤ 조객분향
⑥ 호상인사
⑦ 폐식

조사(弔辭)는 친지나 친척 중에서 대표로 한 사람이 하는 게 바람직하다. 대개가 가족장이므로 주상과 상제들이 제사가 끝난 후에는 조객 중에서 뜻있는 사람이 있으면 분향 재배할 시간적 배려를 해 주는 것이 좋다.

하관(下棺)과
성분(成墳)

하관이란 영구를 광중(壙中)에 넣는 것을 말하며, 성분은 봉분이라고도 하다.
봉분은 관을 묻고 나서 흙으로 둥글게 쌓아 올리는 것을 말한다.
절차는 다음과 같다.

① 명정을 풀어 관 위에 덮고, 상주들은 관 양쪽에 마주서서 재배한다.
② 하관할 시간에 맞춰 결관을 풀고 영구의 좌향(座向)을 바르게 한다. 천개(天蓋), 즉 회 등을 덮고 평토(平土)한다.
③ 평토가 끝나면 준비한 지석(誌石)을 오른쪽 아래에 묻고 성분한다.

위령제(慰靈祭)와
반우제(返虞祭)

위령제는 봉분이 완성되면 고인의 육신이 땅속에 묻혔으니 홀로 외롭더라도 고이 잠들라는, 고인의 명복을 비는 뜻으로 영혼을 위로하는 의식이다.
화장시에는 혼령자리를 유골함으로 대신하고 제를 올린다.
성분이 완전히 끝나면 묘소 앞에 영좌를 설치하고 준비된 제수를 진설한다.
주상이 분향 재배하고 잔을 올린 후 축을 읽은 다음 상주 이하 모두 재배한다.
위령제가 끝나면 상제들은 영위를 모시고 집으로 돌아오게 된다.
집에 돌아오면 그날로 영혼을 집에 맞아들이는 반우제를 지내는데, 이를 초우(初虞)라고도 한다.
반우제는 제물을 생략하고 배례나 묵도 정도로 해도 허물이 없다.
이상으로 초종(初終)의 장례는 끝나게 된다.

삼우제(三虞祭)

장례 치른 지 3일째 되는 날 제수를 올리고 분향하며 곡을 한다.
그리고 묘소나 납골당에 찾아가 뵙는다. 갈 때는 간단하게 음식을 장만하기도 한다.
묘소 주변을 둘러보고 뒷처리할 일이 남아 있으면 마저 처리하고 떼가 잘 입혀졌는지도 살펴본다.

사십구제
(四十九祭)

장례일로부터 49일째 되는 날 올리는 제사이다.
원래는 불교의식이었으나 유교에서도 지낸다. 보통 고인이 생전에 다니던 절에서 거행하며, 영혼을 극락으로 인도한다는 뜻이 있다면 망인의 명복을 빌어 드리는 것도 좋은 일이다.

탈상제(脫喪祭)

전통제례의 3년 탈상이 지금은 많이 현대화되어 1년 탈상 혹은 백일 탈상 등으로 기간이 많이 줄었다.
옛날과는 달리 요즘에는 대상 때 복을 벗는 것이 보편화되었으며, 백일째 되는 날 복을 벗기도 한다.
돌아가신 지 일년이 되는 날 소상을 모시고, 2년째 되는 기일에 대상을 지낸다.
소상이나 대상의 의식은 일반 기제사와 다름없이 제수를 진설한 다음 곡을 하고 재배한다.
백일 탈상 때도 탈상제를 지내는데 그 절차는 기제 때와 같다.

기독교식 장례

임종 (臨終)

1. 식사(式辭) : 주례목사의 개식사를 말한다.
2. 찬송(讚頌) : 주례목사가 임의로 택한다.
3. 기도 : 죽은 사람의 명복을 빌고 아울러 유족들에게 위로를 내리옵소서, 하는 내용의 기원이다.
4. 성경봉독 : 주례목사가 임의로 택한다.
5. 시편(詩篇)낭독 : 시편 90편을 보통 읽는다.
6. 신앙낭독 : 주례목사가 임의로 택한다.
7. 기도 및 위로의 말씀
8. 약력보고 : 유가족 대표나 교회 대표
9. 주기도문
10. 출관

하관식순
(下官式順)

1. 기도 : 주례목사가 한다.
2. 성경낭독 : 주례목사가 임의로 택한다.
3. 선고 : 참석자중 누구든지 흙을 집어 관에 던지고 주례목사는 하나님께로부터 왔다가 다시 돌아감을 선언한다.
4. 기도 : 명복을 비는 기도를 주례목사가 한다.
5. 주기도문
6. 축도

아동영결식순

1. 식사(式辭) : 개식의 선언으로 주례목사가 한다.
2. 찬송(讚頌) : 주례목사가 임의로 택한다.
3. 기도 : 명복을 비는 기원이다.
4. 성경봉독 : 주례목사가 임의로 택한다.
5. 위안사 : 주례목사가 가족들에게 위안의 말
6. 기도
7. 출관

불교식 장례

불교에서는 장례식을 [다비식(茶毘式)]이라고 하는데, [다비]란 불에 태운다는 뜻으로 화장을 일컫는 말이다. 다비식은 불교의 의례 규범인 [석문의범(釋門儀範)]에서 설명하고 있지만 그리 자세하지는 않고 다만 추도의식의 순서만 그에 따라 장례의식을 거행한다. 임종에서부터 입관까지의 절차는 일반장례식과 거의 비슷하지만 영결식 만은 다비에 의한 순서로 한다.

임종 (臨終)

1. 개식 : 호상이 맡아서 한다
2. 삼귀의례(三歸依禮) : 불(佛寶), 법(法寶), 승(僧寶)의 삼보에 돌아가 의지한다는 의식을 주례승이 행한다.
3. 약력보고 : 고인과 가까운 친지나 친구가 고인을 추모하는 뜻에서 고인의 약력을 간단히 소개한다.
4. 착어(着語) : 고인을 위해 주례승이 부처님의 가르침을 설법한다.
5. 창혼(唱魂) : 극락세계에 가서 편안히 잠들라는 것으로 주례승이 요령(搖領)을 흔들며 고인이 혼을 부른다.
6. 헌화(獻花) : 친지대표가 고인의 영전에 꽃을 바친다.
7. 독경(讀經) : 주례승과 모든 참례자가 고인의 혼을 안정시키고 생전의 모든 관계를 청산하고 부처님의 세계에 고이 잠들라는 경문을 소리 내어 읽는다.
8. 추도사(追悼辭) : 초상에는 조사(조사)라고 하며 일반에서 행하는 의식과 같다.
9. 소향(燒香) : 모든 참례자들이 향을 태우며 고인의 명복을 빈다.
10. 사홍서원(四弘誓願) : 주례승이 하며 다음과 같다.

* 제사위에 영정을 모시고 영정 양 옆으로 촛불을 밝힌다.
* 제상앞에는 향탁을 놓고 향을 피운다.
* 영좌의 앞에 조문객을 맞을 자리를 마련하고 옆에 상주자리를 깐다.

11. 폐식 : 영결식의 모든 절차가 끝났음을 선언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