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EP 01임종(臨終)
STEP 02수시(收屍)
STEP 03발상(發喪)
(1) 설전(設奠)
(2) 상제(喪祭)
(3) 호상(護喪)
STEP 04치장(治葬)
(1) 장일(葬日)
(2) 장지(葬地) 선정
(3) 영정(影幀)
STEP 05염습(殮襲)
STEP 06입관(入棺)
STEP 07조문
STEP 08성복(成服)
STEP 09발인(發靷)과
영결식
STEP 10하관(下棺)과
성분(成墳)
STEP 11위령제(慰靈祭)와
반우제(返虞祭)
STEP 12삼우제(三虞祭)
STEP 13사십구제
(四十九祭)
STEP 14탈상제(脫喪祭)
전을 올리는 것은 돌아가신 분을 살아 계실 때와 똑같이 모신다는 뜻에서 주과포혜(酒果脯醯)를 올리고 조석으로 곡을 하였다. 그러나 요즘에는 술과 삼색 과일을 올리고 고인이 평소 좋아하던 음식을 올린다. 혹은 고인이 좋아하던 꽃 중에서 화려하지 않은 꽃을 골라 올려도 무방하다. 그러나 조화는 쓰지 않는다.
2. 상제(喪祭)고인의 배우자 또는 직계 자손은 상제가 된다. 주상(主喪)은 맏아들이 하고, 맏아들이 없으면 맏손자, 맏손자가 없으면 차자가 된다. 또 배우자의 한쪽이 죽으면 생존 배우자가 주상이 된다. 복인(服人)의 범위는 고인의 8촌 이내 친족으로 한다.
3. 호상(護喪)주상을 대신하여 장례에 대한 모든 절차를 주관하는 사람이다. 친척이나 친지 중에서 장례 범절에 밝고 경험이 많은 사람에게 호상을 의뢰한다. 호상은 장례의 모든 절차를 주관하며, 부고와 장례에 관한 안내, 연락, 조위록, 사망신고, 매장(화장) 허가 신청 등을 맡아서 처리한다.
장례일은 대부분 3일장으로 하는데, 간혹 5일장을 치르기도 한다. 사망시간이 늦은 밤일 때는 치장 준비를 서둘러야 한다. 발인제나 영결식 시간은 참석자들의 시간, 장지에서의 도착 시간 등을 고려하여 정해야 한다.
2. 장지(葬地) 선정장지를 미리 정해 두었을 경우에는 치장에 많은 도움이 되지만 그렇지 못할 경우에는 장의사를 통해 공원묘지 등을 알아보아 장지를 선택한다.
3. 영정(影幀)고인의 사진을 검정색 액자에 끼우고 검정색 리본을 두른다. 영정은 시신을 가린 병풍 앞 제상 위에 모셨다가 운구할 때 앞에서 모시고 간다.
입관이 끝나면 정중하게 안치시키고 영좌를 차린 다음 그 앞에 깨끗한 백지를 깐 상을 차려놓고 그 정면에 고인의 영정을 모시고 양쪽에 촛대를 세워 촛불을 밝힌 다음 향로에 향을 피운다. 영좌가 마련되면 고인의 신분을 표시하는 영정을 만들어 영좌의 오른쪽에 세우거나 병풍에 걸쳐놓는다. 영정은 비단 한폭(70cm 정도)에 2.5~3m의 길이의 천에 아교섞인 분이나 달걀 흰자를 풀어 그 물로 글씨를 쓴 다음 흰 가루를 뿌린다. 글씨를 잘 쓰는 사람에게 부탁한다.
불교에서는 장례식을 [다비식(茶毘式)]이라고 하는데, [다비]란 불에 태운다는 뜻으로 화장을 일컫는 말이다. 다비식은 불교의 의례 규범인 [석문의범(釋門儀範)]에서 설명하고 있지만 그리 자세하지는 않고 다만 추도의식의 순서만 그에 따라 장례의식을 거행한다. 임종에서부터 입관까지의 절차는 일반장례식과 거의 비슷하지만 영결식 만은 다비에 의한 순서로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