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킵네비게이션
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인하대병원
인천권역 심뇌혈관질환센터
건강증진센터
진료협력센터
암통합지원센터
발전기금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의 소리
사이트맵
KOR
ENG
中國語
русский
메뉴모두보기
메뉴닫기
진료예약
진료과/의료진
진료안내
건강정보
병원소개
첫방문 예약
나의차트
회원예약
비회원예약
비회원예약조회
내국민 비대면 진료
진료과 및 의료진
진료과
의료진
전문센터
전문클리닉
지원부서
진료예약안내
외래진료안내
입원진료안내
응급진료안내
가정간호안내
증명서발급안내
비급여진료비용조회
건강의학정보
영양정보
약품정보
건강강좌
자주하는 질문
인하웹진(ON)
의료질지표
의료원장인사말
병원설립이념
미션&비전
연혁
윤리경영
윤리경영 추진전략
윤리강령
윤리실천지침
우리의 다짐
윤리실천 GUIDE
신고제도
사이버 클린센터
병원현황
병원발전기금
사회공헌
친절교직원
공지사항
인하뉴스
채용공고
채용공고
채용공지
합격자 발표
첫방문 예약은 처음 방문하시는 고객의 편의를
위한 진료 예약 서비스 입니다.
평일 8:30 ~ 16:00
(토, 일, 공휴일 제외)
-
-
※ 간편예약 신청 시 개인정보 수집·이용 동의함
- 개인정보 수집 이용 목적 : 간편예약 서비스 제공
- 개인정보 수집 항목 : 성명(전화상담 시), 연락처
- 개인정보 보유 및 이용 기간 : 3개월
- 개인정보 수집이용 거부가능 단, 서비스 제공 불가
예약신청
최상의 진료, 연구, 교육을 통해
고객신뢰 . 첨단의술 . 내부화합을 실천합니다.
Trust
Technology
Teamwork
대표전화
1600-8114 / 032-890-2114
진료예약
032-890-2000
초진 전용 빠른예약
032-890-3500
암환자빠른예약
032-890-3600
페이지 위치 알려주기
홈으로
인하대병원
진료예약
진료과/의료진
진료안내
건강정보
병원소개
병원이용안내
나의차트
기타
로그인
회원가입
아이디 찾기
비밀번호 찾기
회원예약
회원예약
비회원예약
비회원예약조회
나의차트
진료예약정보
검진예약정보
진료내역
검진내역
고객의소리
즐겨찾기
즐겨찾기
즐겨찾기
즐겨찾기
즐겨찾기
비회원예약조회
나의의료진
나의의료진
나의건강정보
나의건강정보
나의건강정보
나의건강정보
진료과 및 의료진
진료과 및 의료진
전문센터
전문클리닉
지원부서
진료과
진료과
의료진
진료예약안내
진료예약안내
외래진료안내
입원진료안내
응급진료안내
가정간호안내
증명서발급안내
비급여진료비용조회
건강의학정보
건강의학정보
영양정보
약품정보
건강강좌
자주하는 질문
인하웹진(ON)
의료질지표
의료원장인사말
의료원장인사말
병원설립이념
미션&비전
연혁
윤리경영
병원현황
병원발전기금
사회공헌
친절교직원
공지사항
인하뉴스
채용공고
입찰공고
윤리경영 추진전략
윤리경영 추진전략
윤리강령
윤리실천지침
우리의 다짐
윤리실천 GUIDE
신고제도
사이버 클린센터
채용공고
채용공지
합격자 발표
병원이용안내
병문안안내
편의시설
전화번호안내
층별안내
주차안내
오시는길
장례식장
채용공고
채용공고
채용공지
합격자 발표
개인정보처리방침
개인정보처리방침
안전∙보건 목표와 경영방침
이용약관
이메일무단수집거부
환자의 권리와 의무
사이트맵
자주하는 질문
검색
총
345건
이 검색되었습니다.
무릎의 퇴행성관절염은 어떻게 치료하나요?
찜하기/찜해제
퇴행성관절염에 대한 치료 방법으로 약을 복용하는 것은 질환의 진행을 멈추게 한다거나 더디게 하는 것보다는 증상의 완화만을 가져오는 것이 대부분입니다.
특히 무릎인 경우에는 체중을 부하하는 관절이므로 활동에 장애를 많이 가져오게 되어 적절한 치료를 하지 않으면 다른 관절에 무리를 가져와 이차적으로 다른 곳도 통증을 느끼게 됩니다.
X-ray 상으로 관절에 연골이 닳아서 없어진 경우에는 인공 관절로 바꾸는 방법밖에 없지만 그렇지 않고 연골이 남아있는 경우에는 관절경을 이용하여 손상된 부분을 손질하거나 Laser를 이용하는 방법도 있습니다.
경우에 따라서는 휘어진 무릎을 바로 잡아주어 손상된 부분을 피해서 체중을 싣게 하는 치료법도 있습니다. 이 모든 방법이 다 수술적인 방법으로, 통증이 심하시다면 방문하셔서 적절한 치료방법을 선택하여 치료받으실 수 있습니다.
무릎의 퇴행성관절염이란 어떤 질환인가요?
찜하기/찜해제
골관절염(퇴행성관절염)은 관절을 구성하는 여러 가지 성분 중에서 연골과 주위 골에 퇴행 변화가 나타나서 생기는 관절염으로, 주로 체중을 많이 받는 관절, 즉 무릎(슬)관절, 엉덩이(고)관절 등에 심한 통증과 운동장애를 나타내며, 장기간 방치할 경우에는 관절의 변형까지 초래하는 가장 흔한 관절 질환입니다.
관절의 구성은 관절연골, 주위 골(뼈), 관절막 등으로 구성되는데, 나이가 들면서 나타나는 퇴행성 변화는 관절 연골에서 시작됩니다.
연골 구성성분을 생산하는 연골세포가 시간이 지나면서 생성양이 줄어들고, 기본물질이 적어지면 연골의 탄력성이 없어져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관절을 보호하는 능력이 약해집니다.
시간이 흐르면서 연골의 표면이 거칠어지고, 점차적으로 병이 진행되면 관절강 내로 유입되는 여러 가지 물질에 의해서 염증이 반복되며 연골의 파괴가 진행됩니다.
류마티스성 족부질환?
찜하기/찜해제
류마티스 관절염은 전신 질환이다. 면역학적 기전의 변화로 발생하는 만성질환으로 관절뿐만 아니라 심장 및 피부 등 전신에 이상을 일으키며, 보통 40대 연령에서부터 발생한다. 류마티스의 치료에 쓰이는 약들은 이러한 병의 진행을 억제시키거나, 정지시키게 하며 그 종류는 무척 다양하다.
류마티스 환자는 몸의 전 관절이 파괴된다. 특히 발에서는 관절이 파괴면서 보행과 신발의 영향으로 심한 무지 외반 증세와 발가락의 변형이 유발된다. 이런 발가락의 기형으로 인해 발바닥에 굳은살이 생긴다. 발가락의 변형으로 신발의 착용이 어렵고, 발바닥의 굳은살로 인해 통증과 보행의 어려움을 느끼게 된다. 또한 발목과 그 주위 관절의 파괴로 발목이 틀어지거나 평발 변형이 발생하기도 한다.
초기 류마티스 질환은 약물치료와 함께 특수 신발을 착용시켜서 치료한다. 그러나 계속적인 진행을 보이는 변형이나, 벌써 변형이 많이 진행되어 보존적 치료로써는 통증완화에 도움이 안 될 경우에는 수술적 요법이 가장 확실한 치료 방법이다.
이때 수술 후에도 신발치료를 병행하면 치료효과가 더욱 좋다. 최근에 수술기법의 발달로 인해 수술이 이러한 동통을 없애는데 탁월한 결과를 보여 추천할 만한 치료법이다.
발톱진균증은 전염되는가?
찜하기/찜해제
발톱진균증은 초기 발톱의 앞쪽에서 하얗게 변색이 되면서 시작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또한 항상 발톱 양측 면에 미세한 낙설을 동반합니다.
전염되지 않습니다. 발톱진균증은 매우 흔해서 한 가족에서 그것을 가지고 있는 한 사람 이상이 발견되는 것은 동시에 발생한 것뿐이다.
일반적으로 경구용 항진균제가 효과적입니다. Itraconazole, Fluconazole 등을 사용하며, 2-3개월 동안 매달 1주간 복용합니다. 크림과 같은 국소적 약제는 보통 발톱진균증에 효과적이지 못합니다. 이는 발톱이 매우 견고해서 외용제가 침투할 수 없기 때문입니다.
발톱 주변 피부의 종창과 발적은 손상된 피부 껍질에 곰팡이가 감염될 때 발생하며, 국소 항진균 크림을 2개월 바르면 보통 효과가 있다.
항진균의 경구용 약제의 독성에 대한 오랜 평판은 쉽게 사라지지 않는다. 비록 많은 사람들이 항진균 약제가 “간에 나쁘다”는 인상을 여전히 갖고 있지만, 새로운 약제는 실제적으로 간에 문제를 일으킬 가능성이 매우 적다.
티눈?
찜하기/찜해제
티눈도 과도한 압력에 의해 발생하며, 주위 발가락과의 마찰에 의한 경우를 연성 티눈, 신발에 의한 경우 경성 티눈으로 나눈다. 일반적으로 연성 티눈은 발가락 사이에 발생을 하고, 경성 티눈은 신발이 닿는 엄지나 제5 발가락에서 발생한다.
일반적으로 티눈이 생긴 부위에 통증이 있으며 좁은 신발을 신는 경우 더 심해진다. 심한 경우 티눈 내에 궤양이 생기고 주위에 발적 및 염증이 동반되기도 한다.
너무 조이거나 헐렁한 신발을 신지 않는다. 필요한 경우 티눈고를 이용할 수 있다. 그러나 이들 제재는 산을 포함하기 때문에 당뇨병과 같이 혈액 순환이나 신경계에 장애가 있는 환자는 절대로 사용해서는 안 된다.
계속적인 통증과 재발이 있는 경우는 병원에서 압력이 많이 발생하는 부위에 패드를 대거나 돌출된 뼈를 제거함으로써 압력이 줄어 간단히 티눈이 저절로 없어지게 된다.
굳은살이란?
찜하기/찜해제
주로 발바닥에 발생하며 사마귀와 구분하여야 한다. 일반적으로 굳은살은 발바닥에 가해지는 압력이 과도하게 되면 피부가 두꺼워지면서 발생하며, 사마귀는 바이러스 감염에 의해 생긴다. 굳은살이 발생하는 곳은 주로 걸을 때 힘이 많이 가는 중족골 골두 부위 즉 발가락의 뿌리 부분에서 생긴다.
일반적으로 크지 않은 굳은살은 큰 증상이 없다. 그러나 작은 굳은살도 구두, 하이힐 등의 신발은 바닥이 딱딱하여 오래 걷는 경우 통증이 악화된다. 또 굳은살이 크고 제거 후에도 바로 자라는 경우는 걸을 때마다 통증이 있게 된다. 즉 굳은살이 주위 살에 비해 매우 딱딱하므로 이 굳은살이 주위 조직을 눌러주는 상태가 되어 마치 신발 속에 작은 돌을 넣고 걷는 것과 비슷한 상태가 된다.
굽이 낮고 깔창이 푹신한 신발을 신어 발바닥의 압력이 전체적으로 퍼지게 하여 통증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연마돌이나 연화제를 이용해서 굳은살을 감소시킬 수 있다. 필요한 경우 의료용 패드를 깔창에 부착하여 압력을 줄이가 의료용 깔창을 제작하여 착용한다. 그러나 굳은살을 제거 후에도 한 달 이내에 바로 자라는 경우는 수술을 통해 돌출된 뼈를 제거하여 저절로 굳은살이 없어지게 한다.
발가락 변형(소족지 변형)
찜하기/찜해제
작은 발가락(lessor toe)의 변형은 주로 신발에 의해 발생한다. 대부분 신발을 자기 발에 맞는 신발보다는 조금 좁은 신발을 선택하는 경향이 있다. 일반적으로 발에 딱 맞는 신발은 발에 비해 작은 신발이며 신발을 신을 때 뒤축에 손가락 하나 정도가 들어가는 것이 좋다.
특히 여성들은 폭이 좁은 신발을 선호한다. 이러한 신발에 발이 들어가면 신발 속에서 발의 모양은 발가락이 완전히 구부러지고 안 쪽으로 쏠리는 형태를 취하게 된다.
이런 상태가 장기간 진행되는 경우 발가락의 관절이 구부러진 상태에서 굳어지게 된다. 발가락 관절이 구부러지는 부위에 따라 추지(원위지 관절의 굴곡), 망치족(근위지관절의 굴곡) 등으로 나눈다.
또한 중족지 관절까지 침법되는 경우 갈퀴족이라 칭한다. 신발 이외에도 다른 신경학적 이상, 당뇨 등으로도 소족지 변형이 발생할 수 있다.
작은 발가락의 변형이 장기화되면 굴곡의 정도는 더욱 심해지고 결국은 굴곡된 관절이 신발의 가죽에 눌려 굳은살이 생기고 통증으로 이어진다. 더욱 진행이 되면 굳은살에 궤양이 발생하면서 염증이 생긴다.
발가락에 이런 변형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자기 발에 맞는 신발의 선택이 중요하다. 특히 앞 코에 해당되는 부위가 크고 둥근 신발이 좋다. 이런 편한 신발을 착용해도 계속적으로 통증이 있는 경우 발가락의 교정(수술)이 필요하다.
교정은 변형된 부위와 변형 정도에 따라 여러 가지가 있다. 보통 많이 하는 수술은 절제 성형술, 건 절단술, 건 연장술 등이 있다. 비교적 간단하고 수술 시간도 짧으며 대부분 좋은 결과를 보인다.
평발이란?
찜하기/찜해제
우선 평발은 소아 평발과 성인 평발로 나눌 수 있습니다.
진료 중 많은 부모들이 아이를 데리고 와서 평발에 대해 문의를 많이 합니다. 현재 우리 애가 정상이냐고? 소아의 경우 평발이 많은데 성인에서는 많지 않습니다. 그러면 어릴 때 평발인 사람들은 다 어디로 간 것인가? 실은 어디로 간 것이 아니고 자라면서 저절로 좋아진 것입니다.
2,3 세의 유아들은 정상적으로 전부 평발입니다. 소아는 정상적인 골 구조와 족 아치가 있어도, 족 아치를 유지시켜주는 인대가 성인보다 느슨하여, 체중 부하 시에 족 아치가 함몰되어 평발로 보입니다. 그러나 발이 성장함에 따라 골 발육이 주위의 인대나 건보다 더 빠르게 자람으로써 인대의 긴장이 늘어나고, 발이 단단해져, 체중 부하를 해도 족 아치가 함몰되지 않게 됩니다.
발이 성장을 하면서 조금씩 족 아치가 만들어지며, 중학생이 되면 거의 성인과 같은 모양을 갖추게 됩니다. 일반적으로 초등학교 전까지는 평발이 있더라도, 특별한 통증이나 뼈에 이상이 없으면 기다려 보는 것이 좋습니다. 이런 경우는 족 아치의 형성이 조금 늦은 경우로 생각하고, 일 년에 한 번씩 정기적인 방사선 검사를 통해 족 아치의 형성 여부를 관찰만 하면 됩니다.
초등학교 고학년이 되어도 심한 평발이거나 발에 통증이나 쉬 피로감을 느끼는 경우는 족부 전문의에게 진찰을 받아보는 것이 좋습니다.
평발은 일반적으로 족 아치가 낮은 경우를 말하나 실제적으로는 뒤꿈치와 발 앞쪽이 같이 변형이 오는 동반 변형입니다. 뒤꿈치가 밖으로 휘고 발 앞쪽이 바깥으로 향하는 변형이 같이 동반합니다. 평발 환자의 발을 뒤에서 보면 더욱 명확히 알 수 있다. 소아 평발의 경우 하지가 안으로 돌아 안장 걸음을 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정상적인 발은 일정한 크기의 아치가 있어, 걷거나 설 때 뒤꿈치와 발가락의 뿌리 부분이 지면에 닿고 발의 중간 부분은 살짝 뜨게 됩니다. 특히 중간 부분의 안쪽이 많이 뜨고 바깥쪽은 거의 지면에 붙어있는 모양이 정상입니다.
이런 족 아치는 보행 시에 발에 쿠션 역할을 하고, 앞으로 나갈 때 추진력을 주게 됩니다. 그러나 평발은 족 아치가 없으므로 발바닥이 평편하여 발바닥 전체가 지면에 닿는 것입니다.
족 아치가 없는 평발은 보행 시 정상적인 발보다 효율이 떨어져 에너지가 많이 필요하게 됩니다. 조금만 걸어도 쉽게 피로감을 느끼고, 추진력도 적어 달리기도 잘 못하게 됩니다.
모든 평발이 다 치료 대상은 아닙니다. 치료를 필요로 하는 경우는 조금만 걸어도 쉽게 피로감이 오고, 특히 발 내 측에 통증을 호소하는 경우입니다. 또한 선천적인 원인에 의해 평발이 생기는 경우도 있다. 예를 들면 성장 과정에서 족근골끼리 융합이 일어나는 경우나, 주상골 부골이 있는 경우가 있습니다.
특히 주상골 부골은 발 안쪽이 튀어나오면서 그곳에 통증을 발생합니다. 평발의 정도가 심하고 발 내 측에 통증이 있는 경우 신발 교정을 통해 통증을 감소시키고 변형을 지연하거나 교정할 수 있습니다. 성장하는 어린이의 경우 일반적으로 깔창 교정 시 6개월 간격으로 방사선 검사를 시행하고, 필요한 경우 깔창을 교체합니다. 그러나 주상골 부골이 있거나 골유합이 있는 경우는 수술을 하기도 합니다.
성인도 젊었을 때 정상이었으나 점점 평발이 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류마티스 관절염이나 퇴행성관절염, 당뇨에 의한 신경증 등이 원인이 되나 가장 많은 원인으로는 후 경골건의 기능 장애가 가장 많습니다. 아직 우리나라에는 많이 보고되지는 않았지만 미국의 경우 많은 사례의 보고가 있어, 현재 우리나라에도 많은 예가 있을 것으로 예상이 됩니다.
후 경골건은 족 아치를 유지하는 아주 중요한 건입니다. 이런 후 경골건의 기능 이상은 곧 족 아치를 받쳐주는 기둥이 없는 것과 같아 서서히 평발로 진행이 됩니다. 후 경골건의 기능 이상은 서서히 진행이 되고, 40-50 대에 가장 많으며, 특히 뚱뚱한 사람에게 많습니다. 조금만 걸어도 발 안쪽에 통증이 생기고, 평발 변형이 생기면서 발 안쪽으로 걸어 다니는 모양이 됩니다. 특히 이 경우는 까치발을 하지 못합니다. 문진, 신체검사, 방사선 검사와 MRI 등으로 진단합니다.
초기 변형이 시작되기 전에 에 치료를 시작하는 것이 중요하며, 그 결과 또한 양호합니다. 변형이 많이 진행된 경우는 교정을 위해 수술을 하게 됩니다.
골결핵은 왜 생기나요?
찜하기/찜해제
폐결핵의 원인인 결핵균이 혈류와 함께 뼈에 흘러 들어 생기는 염증성 질환입니다. 뼈와 관절에 결핵균이 들어가서 염증을 일으킨 상태가 골결핵입니다.
골결핵이 잘 생기는 곳은 척추, 고관절(엉덩이 관절), 무릎 관절입니다. 관절이 붓고 아픈 것이 중요한 증세이지만, 화농성 관절염과는 달라서 환부에 열이 있는 듯한 느낌은 많지 않습니다. 고관절과 슬관절(무릎)에 생기는 경우, 처음에는 다리를 약간 절게 되는 가벼운 증세가 나타나는 수도 있습니다. 화농성관절염에 비하면 붓고 아픈 것 등의 증세는 가볍지만, 낫기 어려운 결핵성의 염증성 육아가 발생하여 완만하게 관절 속을 계속 파괴하기 때문에 서서히 관절의 움직임이 나빠져 갑니다. 척추 결핵이 있으면 등에서 고름이 나오는 경우가 많습니다. 척추 결핵이 있을 때 나오는 고름은 일반적인 항생제 치료로는 멎지 않습니다. 척추결핵이 심하면 꼽추라고 부르는 기형이 되거나 하지마비와 같은 합병증이 생기는 경우도 있습니다.
근육이 여위고 가늘어지는 증세와 관절의 X선 촬영으로 골결핵을 짐작할 수 있지만, 확실하게 진단하려면 바늘로 찔러서 채취한 관절액 속에 결핵균이 증명된다거나, 관절경을 사용하여 채취한 현미경을 통해 관절의 조직에서 결핵종이라는 특유의 조직소견을 확인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골결핵이 심하지 않으면 먹는 약으로만으로도 치료되지만, 병이 심하거나 합병증이 있는 경우에는 수술을 받은 후에 결핵약을 먹어서 치료해야 합니다. 약을 먹는 기간은 폐결핵보다 긴 것이 보통입니다. 심할 경우 수술로 관절을 절개하여 염증성 육아를 제거해서 관절 속을 깨끗이 하거나, 될 수 있는 대로 관절이 잘 움직이도록 처치합니다. 그러나 발견이 늦어지면 관절 속이 거의 다 파괴되어 관절을 움직이지 못하게 도는 수도 있습니다.
재발하기 쉬우므로 반드시 의사의 지시에 따라 정기 검진을 받도록 해야 합니다.
무지 외반증이란?
찜하기/찜해제
무지(엄지발가락) 외반증이란 무지가 첫 번째 발가락 관절에 외측으로 과잉 변형되고, 관절은 내측으로 기울어져 두 번째 발가락과 멀어져 있으며, 첫 번째 발가락 머리부의 내측 비대와 다른 발가락에서도 변형이 동반되는 복합적인 질환을 말합니다.
흔히 가족력이 있고 양측성이며, 중년이나 노년 여성에게서 흔히 볼 수 있습니다. 원인으로는 우선 신발로 인한 변형을 들 수 있습니다. 성인 여자의 신발은, 앞이 뾰족하고, 좁아 장기간 사용으로 발의 모양이 변할 수 있습니다. 그 외에도 선천성 인자, 긴 엄지발가락 및 납작발 등이 무지 외반증을 유발하는 인자가 될 수 있습니다.
전혀 증상을 나타내지 않는 경우도 많으나 증상을 나타내는 경우는 제 1 중족골의 두부 내측 돌출부가 계속 마찰되고 압박으로 인한 점액낭염(Bursitis), 제 1 중족 무지간 관절의 골관절염, 종자골의 관절염, 무지에 분포하는 신경의 압박, 횡아치가 넓어져 발생한 제2, 제 3 종족골 두부의 피부 경결 등이 동통의 원인이 됩니다.
변형의 진행에 따라 무지의 회측부에 있는 관절낭, 근육, 건 및 인대가 단축되며, 반대로 내측부는 늘어나게 되는데 특히 외측에서 무지 내전근의 결합인대가 단축을 일으키게 되며 이에 따라 장족지 굴건 및 신전건이 외측으로 전이 됩니다.
경증인 경우에는 볼이 넓고 편한 신발을 신거나, 중족골 패드를 대어 동통을 완화 시킬 수 있습니다. 점액낭이 급성 염증을 일으켰을 경우는 안정과 항생제 투여가 효과적입니다. 동통과 변형이 심해지거나, 일반 신발을 신기가 어려운 경우, 사회적 활동이 필요한 경우 등에는 수술적 치료를 고려하여야 합니다.
수술 방법은 연부조직을 주로 교정하는 방법과 골을 교정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수술 후에는 무지를 과교정 위치에서 석고로 고정하거나 무지와 제 2 족지 사이가 편하게 벌어지도록 유지시켜 재발을 막아주어야 하며 주기적으로 재발의 여부를 추적 관찰해야 합니다.
빠른 치료가 중요합니다. 수술 후 예후는 이후 습관에 따라 다르나 대체로 우수하다 할 수 있습니다.
페이지 보기
1
페이지 보기
2
페이지 보기
3
페이지 보기
4
페이지 보기
5
현재 페이지
6
페이지 보기
7
페이지 보기
8
페이지 보기
9
페이지 보기
10
다음 10 페이지 보기
마지막 페이지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