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도한 냉방이 건강에 악영향을 끼친다는 건 누구나 다 아는 사실입니다. 여름철, 환기가 잘 안 되는 밀폐된 공간에서 에어컨 냉방을 지속할 경우, 두통, 감기, 몸살, 권태감, 위약감 등 다양한 냉방병 증상을 겪을 수 있는데요.
그렇다면 냉방병 없이 건강하게 여름을 나기 위해선 어떻게 해야 할까요? 냉방병의 원인과 증상 그리고 대처 및 예방법을 알아봅니다.
│감기 바이러스로 인한 냉방병
일반적으로 상기도 감염, 즉 감기를 일으키는 바이러스는 겨울에 유행하지만, 여름에도 감염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여름에 바이러스가 활성화된 감기 환자는 다른 사람들에 비해 서늘한 환경을 더 힘들게 느낄 수 있고, 두통, 목 통증, 콧물, 재채기, 위약감 등의 증상이 심하게 나타날 수 있습니다.
여름 감기는 우리 몸이 허약할 때 쉽게 걸리게 되므로 여름에도 꾸준한 식사와 운동 등 규칙적인 생활로 몸의 건강을 관리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수면 시간과 식사 시간은 가능하면 일정한 시간에 할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
│레지오넬라증으로 인한 냉방병
레지오넬라증은 물에 서식하는 레지오넬라균에 의해 발생하는 감염성 질환입니다.
레지오넬라균은 25~45℃의 따뜻한 물에서 잘 번식하며, 온수기, 에어컨의 냉각탑, 가습기, 수도배관, 배수관, 온천, 분수, 호수 등에도 존재합니다.
특히 여름에는 에어컨의 냉각수에서 잘 번식해 냉방기를 통해 빌딩에 거주하는 사람들을 집단 감염시키는데요. 특히 노약자, 면역 기능이 약한 사람에서 주로 감염됩니다.
레지오넬라증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냉방기의 청결 유지가 무엇보다도 중요하며, 정기적인 냉방기 점검과 필터 청소 역시 필수적입니다.
│밀폐 건물 증후군으로 인한 냉방병
밀폐 건물 증후군은 시원한 실내 온도 유지를 위해 환기를 제대로 하지 않을 때 발생하는 질환입니다.
담배 연기는 물론, 사무실의 가구나 카펫, 페인트나 접착제, 복사기 등에서 발생하는 유해 화학물질이 실내에 계속 쌓여서 발생하는데요. 창문을 열 수 없는 구조로 된 건물이나, 환기와 냉난방을 중앙 집중적으로 관리하는 빌딩 등에서 환기 부족으로 흔히 발생합니다.
밀폐 건물 증후군에 걸린 사람은 주로 두통을 호소하며, 눈, 코, 목 등이 건조해져 따갑거나 아플 수 있습니다. 또 가슴이 답답하고 어지럽거나 피로감이 생길 수도 있습니다.
밀폐 건물 증후군을 예방하거나 개선하려면 반드시 환기를 통해 유해 화학성분을 외부로 내보내야 합니다. 규칙적으로 창문을 통해 환기해야 하며, 중앙 환기 시스템인 건물의 경우 환기 횟수 및 강도를 강화해야 합니다.
│냉방병을 예방·개선하는 생활요법
여름철 차가운 바람에 장시간 노출되면 ▲기침, 콧물 등의 호흡기 증상 ▲소화 불량, 하복부 불쾌감, 배탈 등의 위장장애 ▲고열, 두통, 피로, 나른함, 근육통 등의 전신증상을 겪을 수 있습니다. ▲여성의 경우는 생리통이 심해지거나 생리불순이 올 수 있으며, ▲만성질환자의 경우는 만성질환이 악화될 수 있습니다. 심하면 폐렴도 생길 수 있습니다.
냉방병은 대부분 실내 환경을 개선하면 증상이 호전됩니다.
우선, 적절한 온도와 습도를 유지합니다. 실내의 온도는 대체로 22~26℃ 사이가 적정합니다. 춥게 느껴질 정도의 지나친 냉방을 피하고, 사람이 적은 방향으로 에어컨 송풍 방향을 맞춰야 합니다.
에어컨은 1시간 가동 후 30분 정도 정지하고, 적어도 2∼4시간마다 10분 이상 실내외 공기를 환기하는 것이 좋습니다. 또, 에어컨은 항상 청결하게 유지하며, 필터는 최소한 2주에 한 번 청소합니다.
몸의 면역력 유지에도 주의를 기울여야 합니다. 찬물이나 찬 음식을 피하고, 에어컨의 찬 공기가 직접 몸에 닿지 않도록 하고, 몸이 춥게 느껴질 때는 긴 소매 남방이나 카디건을 준비해 두었다가 걸쳐 입습니다.
평소 미지근한 물을 자주 마시고 혈액순환을 돕기 위해 맨손 체조나 가벼운 근육 운동을 수시로 하고, 자주 외부에 나가 바깥 공기를 쐬어야 합니다. 과로와 과음, 수면 부족 등으로 몸의 면역력이 떨어지지 않도록 주의합니다.
냉방병의 증상이 있을 때는 몸을 따뜻하게 하고 충분히 휴식을 취해야 합니다. 단, 증상이 심하거나 오래 지속될 경우 내과 또는 가정의학과 전문의의 진료를 받아야 합니다. 정확한 원인을 판별하기 위해 가래·소변·혈청 검사를 할 수 있으며, 병명 진단 후 적절한 약물치료를 병행하면 증상이 호전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