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이지 위치 알려주기

[열린 진료실] 우리 몸의 정수기, 신장이 위험하다. 만성신부전증

2020.08.18



우리 몸에는 ‘정수기’와 같은 역할을 하는 신체 기관이 있습니다. 우리말로 ‘콩팥’이라 부르는 ‘신장’인데요. 
   
우리 몸의 양쪽 옆구리 뒤편에 위치한 신장은 몸에서 만들어진 노폐물을 걸러 소변으로 배출하고, 혈액 속의 전해질 농도를 조절하고, 혈압을 조절하는 등 다양한 기능을 합니다. 또, 칼슘이나 인 대사에 중요한 호르몬들을 생산하는 내분비적 기능, 적혈구 생성 조절 및 비타민D를 활성화하는 기능 등을 합니다.

이처럼 신장은 매우 중요하고 핵심적인 기관 중 하나인데요. 문제는 이러한 신장이 한번 손상되면 다시 회복되기 어려운 기관이라는 점입니다. 신장에 생기는 대표적인 질병인 만성신부전증이 발생하면 다시 정상 상태로 회복하기 어렵습니다. 
   


│신부전증의 두 가지 양상
 

 
신장의 기능이 떨어지면 신체에 노폐물이 쌓여, 건강 이상이 발생하는데요. 이러한 상태가 신부전증에 해당합니다. 이는 신장 기능이 저하되는 속도에 따라 크게 급성신부전증과 만성신부전증으로 나뉩니다. 
   
급성신부전증은 신장의 기능이 갑자기 나빠져 기능 부전 상태에 이르는 상태를 말하며, 원인이 제거되거나 치료를 잘 받으면 신장 기능을 다시 회복할 수도 있습니다.
   
만성신부전증은 신장의 기능이 서서히 나빠져서 기능 이상이 3개월 이상 지속되는 상태를 말합니다. 급성신부전증과 달리 나빠진 신장 기능이 회복되기는 어렵습니다. 
   
특히 당뇨병, 고혈압 환자에게서 지속적으로 단백뇨가 나오면 만성신부전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단백뇨란 소변에 지속적으로 많은 단백질이 섞여 나오는 것으로, 소변에 유난히 거품이 많고, 거품이 쉽게 가라앉지 않으면 의심해볼 수 있습니다.
   
만성신부전은 당뇨병, 고혈압 그리고 신장의 거름 장치라고 할 수 있는 사구체에 염증과 손상이 생기는 질환인 사구체신염이 원인이 되는 경우가 가장 많고, 다낭성 신질환, 요로 협착 등 선천성 기형으로 생기는 경우도 있습니다. 
   


│침묵의 질환, 만성신부전증
 

 
신장은 정상 상태의 50%까지 기능이 감소하더라도 특별한 증상을 보이지 않아 만성신부전은 침묵의 질환이라고도 불립니다. 치료 시기를 놓치고 투석이 필요한 단계에 병원을 찾는 일도 있습니다. 
   
따라서 주기적인 건강검진을 통해 미리 건강을 체크하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건강검진 결과에 혈뇨나 단백뇨가 있다면 빠르게 전문가를 찾아 정확한 검사와 진단을 받아보는 것이 도움이 됩니다. 또한, 지나치게 적은 양이나 혹은 많은 양의 소변을 보는 경우라면 신장질환이 있는지 확인이 필요합니다. 신부전증의 여부를 알 수 있는 검사로는 혈압, 소변, 혈청 크레아티닌 검사가 있습니다. 당뇨나, 고혈압을 앓고 있는 환자는 정기적인 검사가 필요하고, 가족력이 있는 경우도 마찬가지 입니다. 
   
만성신부전은 5단계까지 존재하며 치료의 목표는 신장의 기능이 마지막 5단계로 진행하는 것을 멈추게 하거나 늦추는 것입니다. 특히 혈압과 혈당을 잘 조절하는 것이 중요하고, 약물이나 식이요법을 잘 따라야 하며, 의사와 전문 영양사와 상담을 진행하는 것도 도움이 됩니다. 만성신부전 5단계에 도달한 경우에는 혈액투석 치료를 정기적으로 받거나 신장이식이 필요합니다.
   
만성신부전증은 한번 발생하면 다시 정상으로 회복되기 어려운 질병으로, 건강관리가 매우 중요합니다. 산책 등 가벼운 운동으로 적정 체중을 유지하고, 금연 및 금주, 저염식 식사 관리를 해야 합니다. 김치를 적게 먹으며 가공식품의 섭취를 제한하는 것은 기본입니다. 신선한 채소와 과일에는 칼륨이 많은데, 신장 기능이 저하되면 칼륨 배출이 감소해 몸에 축적될 수 있으므로 과도한 칼륨 섭취를 제한합니다. 물 섭취도 의료진과 상의해 진행하는 것이 좋다고 할 수 있겠습니다.


 

 

원하시는 예약유형을 선택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