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절기에는 기침·고열·두통에 시달리는 분들이 많습니다.
많은 분이 이런 증상을 감기 증상으로 알고 가볍게 여기시는 경우가 있는데요.
하지만 증상이 감기와 비슷하게 나타나는 질환들은 매우 다양합니다.
그 대표적인 예로, 뇌수막염이 있습니다.
뇌수막염은 초기 증상이 감기와 유사하여 정확한 진단이 쉽지 않고,
세균에 의해 발병하는 경우 생명을 잃을 수도 있어 위험한 질환입니다.
감기와 비슷한 증상으로 초기 진단 비율이 낮은
뇌수막염에 대한 관리가 필요한 이유입니다.
│ 뇌수막염이란?
뇌수막염은 뇌와 척수를 둘러싸고 있는 얇은 뇌막(수막)에 염증이 발생하는 질환을 말합니다.
우리의 뇌는 가장 깊숙한 쪽부터 연질막, 거미막, 경질막 순으로 둘러싸여 있는데, 일반적으로 뇌수막염은 거미막밑 공간이라고 부르는 연질막과 거미막 사이에 염증이 발생하는 질환을 의미합니다.
원인은 바이러스나 박테리아(세균), 결핵균 또는 진균(곰팡이균)의 침투입니다.
전체 환자의 90% 정도가 바이러스성 뇌수막염인데요. 바이러스성 뇌수막염의 주된 원인은 엔테로바이러스입니다. 엔테로바이러스는 장 바이러스의 하나로 위장관을 통해 장기간 배출되며 주로 대변으로 오염된 물질을 섭취하거나 분비물 등에 오염된 물건을 통해 전파됩니다.
현재 백신이 개발되지 않은 상태이므로, 개인위생에 신경 쓰는 것이 최선의 예방법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그 외 드물게 세균성 뇌수막염, 결핵성 뇌수막염, 진균성 뇌수막염 등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세균성 뇌수막염의 주된 원인균은 폐렴구균, b형 헤모필루스 인플루엔자균, 수막구균입니다. 면역기능이 저하된 환자 또는 60세 이상의 고령에서는 리스테리아 모노사이토제네스균 또한 의심해야 합니다.
│ 뇌수막염의 진단과 치료
뇌수막염은 38도 이상의 고열, 두통, 구토 등 몸살감기와 비슷한 증상이 나타나 대부분 환자는 독감으로 속단해 안일하게 대처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고열과 두통이 오랜 시간 동안 지속된다면 정확한 검사를 진행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빨리 치료하지 않으면 뇌에 영구적인 손상을 입혀 청력 손상, 시력 손상, 기억장애, 행동장애, 성격 변화, 신체 마비 등의 후유증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진단은 보통 허리에서 뇌척수액을 채취하는 방식으로 진단합니다. 고통에 대한 두려움으로 검사를 꺼리는 경우가 있는데, 이후 유발되는 고통이 더욱 크기 때문에 반드시 빠르게 검사해야 합니다.
뇌수막염의 치료는 원인균에 따라 다른데, 바이러스 침입에 의한 수막염은 대부분 자연적으로 호전되며 해열제 투여, 수액 보충 등 증상을 완화하기 위한 치료를 진행합니다. 앞서 언급했듯이 엔테로바이러스의 경우 백신이 개발되어 있지 않은 상태입니다.
세균성 뇌수막염, 결핵성 뇌수막염, 진균성 뇌수막염의 경우는 원인균에 따라 적절한 항생제, 항결핵제 또는 항진균제를 투여해 치료합니다.
세균성 뇌수막염의 경우는 예방접종이 있으니 보건소 홈페이지 등을 확인해 접종을 맞는 편이 좋습니다.)(폐렴구균, b형 헤모필루스 인플루엔자는 국가에서 전액 지원, 수막구균의 경우는 환자가 비용 부담)
뇌수막염은 노인이나 어린이 등 면역력이 약한 계층에서 발병률과 치사율이 더 높아, 평소 생활에서 예방이 매우 중요합니다. 청결한 생활습관이 필요하고, 전염성이 높아 뇌수막염 환자의 가족들에 대한 관리와 진단도 함께 진행되어야 합니다.